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보드 정보

에스보드 알아보기

by 보드타는 아재 2023. 12. 15.
반응형

에스보드는 두 개의 발판을 연결하여 S자 모양으로 운행하는 보드로서 모양은 스케이트보드와 비슷하지만, 운행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ABS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플레이트 2개가 토션 바(bar)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쪽 플레이트는 따로 움직일 수도 있다. 앞 뒤 바퀴 부분의 캐스터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운전자가 좌우로 움직이면 S자 모양을 그리면서 앞으로 나아간다평지에서도 자체의 추진력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전진, 주행, 회전 등이 가능합니다.

이런 특성을 가진 에스보드 타는 법을 알아 보면

에스보드 타는

1. 보드를 발 앞에 가로 방향으로 놓는다.
단, 타기 전에 우선 왼쪽으로 진행을 할지 혹은 오른쪽으로 진행을 할 지를 결정해야 보드의 앞 부분의 위치가 결정된다.  만일 왼쪽으로 진행한다면 에스보드의 앞 부분이 왼발쪽에 있어야 하고 오른쪽으로 진행을 한다면 앞 부분이 오른발 앞에 놓여야 한다. 

2. 왼발 (오른발)을 데크 앞 부분에 올린다.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뒷쪽의 한 발을 사용하는데 앞발은 진행 방향 쪽의 데크 위에 올린다.

3. 지면에 내려져 있는 뒷발을 이용해 보드를 밀고 진행 방향쪽으로 움직일 때 뒷 발을 보드 위로 올려서 탄다.
뒷발로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데크에 올린 앞발 외에 뒷발이 지면을 밀면서 타야 하기에 왼쪽 방향으로 진행할 때는 뒷발인 오른발을 사용하여 보드를 밀어 주면서 서서히 보드가 출발 할때 보드의 위로 사뿐히 올라간다는 느낌으로 올라 탄다.

4. 힘을 뺀 상태로 잠시 주행을 하다가 보드 위에서의 자세가 안정이 되면 허리를 좌우로 틀어주면서 주행을 한다.
잠시 몸에 힘을 빼고 자전거 페달을 돌리지 않더라도 주행이 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보드 위에서의 자세가 안정적이다고 느껴질때 천천히 허리를 좌우로 틀어 주기만 하면 쉽게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5. 가고자 하는 방향을 멀리 쳐다보면서 보드를 지면과 수평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
실제 타 보면 실행이 잘 안 되지만 가급적이면 진행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두고 몸에 힘을 최대한 빼고 주행을 연습하는 것이 좋다.


마무리 글

에스보드를 보통은 '흔들어서 나아가는 장난감 보드'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사랑받고 있는 에스보드는 캐스터보드라고도 불린다. 운전자가 몸을 비틀 때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힘이 에스보드를 평지에서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런 원리로 에스보드는 장난감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서 균형 감각과 유연성 발달, 유산소 운동 효과 등 신체 단련 및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으며 이용할 때는 헬멧이나 무릎보호대,손목 보호대 등의 안정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주변의 넓은 공터나 공원에서 킥보드를 타는 어린이들과 에스보드를 타면서 행복해 하는 어린 친구들을 볼 때면 초등학교때 부터 학원으로 내몰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불쌍한 현실로 부터 잠시나마 해방되었구나 하는 생각으로 내심 기쁨 마음으로 바라 보게 된

반응형